top of page
검색
  • RLRC 생체시계-항노화 융합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제목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추천 연구 논문

​A distinct astrocyte subtype in the aging mouse brain characterized by impaired protein homeostasis (Nat Aging (2022). https://doi.org/10.1038/s43587-022-00257-1)

선정 이유

노화된 뇌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종류의 별아교세포를 발견했고, 이들이 세포 내 단백질 항상성이 손상돼 시냅스 생성 및 제거와 같은 기본적 능력이 결여돼있음을 밝혀 노화에 따른 인지 기능 저하를 일으키는 새로운 원인을 제시하였음

주요 내용

노화가 진행될수록 해마에 존재하는 별아교세포에서만 엠토르 (mTOR: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조절하는 단백질 합성의 신호체계)와 프로테아좀 (proteasome: 단백질 분해 효소 복합체) 활성도가 크게 감소함을 확인하였음. 이 두 기전은 원래 자가포식 작용을 제어하는 기전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다른 세포보다도 별아교세포에서 엠토르와 프로테아좀 기능이 감소함에 따라 자가포식 작용이 무분별하게 발생함을 규명함. 또한, 이렇게 만들어진 오토파고좀들이 원래는 리소좀(lysosome)에 의해 분해돼 제거되나, APDA 세포들은 리소좀의 활성마저도 감소해 있음을 확인하였음.

시사점

현재 노화된 뇌나 퇴행성 뇌 질환에서 교세포의 연구는 주로 염증성 교세포와 이들의 역할에 집중돼왔음. 연구팀의 이번 발견은 노화 및 치매 뇌에서 염증성 별아교세포와는 전혀 다른 종류의 비정상적 별아교세포가 존재함을 밝힌 첫 번째 연구 결과이며, 이번 연구가 현재 노화를 극복하기 위해 엠토르를 전체적으로 억제하려는 현재 패러다임이 오히려 비정상적인 APDA 세포의 생성을 촉진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어, 향후 연구에서는 노화 극복 방안이 세포 특이적으로 세분화돼야 함을 시사함.


조회수 1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ments


bottom of page